요즘 원유 관련 선물 상품이 인기가 좋다.
그래서 이번엔 관련 상품에 도전 하기 전에
꼭 알아봐야 할 용어에 대해 공부했다.
1) 괴리율
기준 가격과 현재 가격의 차이이다
공식은 [(현재가-기준가)/기준가]X100 이다
즉, 괴리율이 높으면 기준 가격대비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의미이다.
* 기준 가격은 현재 원유의 가치에 대한 선물 상품의 적정 가격이고
현재 가격은 현재 선물 상품이 판매되는 가격이다
괴리율은 보통 1~2일 내에 상품 담당자에 의해 조정이 되고
괴리율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선물 상품 담당자는 본인이 충당할 수 있는 수량이 정해져 있는데
갑자기 충당 가능한 수량을 넘어선 거래가 나오게 되면
괴리율 조정을 위한 물량이 없기 때문에 괴리율 조정이 늦어지게 된다.
* 특히, 레버리지 상품의 경우 조정이 늦어질 수 있다
조정이 되기 전 급한 마음에 괴리율이 높은 상품을 샀을 때는
괴리율만큼 상품을 비싸게 산거고
이 가격은 결국 기준가격에 맞춰 조정이 되므로
괴리율만큼 나의 이익이 조정 받게 된다.
2) 콘탱고
선물 가격(미래의 가격)이 현물 가격(현재의 가격)보다 높은 현상
즉, 해당 상품의 가격이 앞으로 올라갈거라고 예측하는 상태이다.
3) 백워데이션
선물 가격(미래의 가격)이 현물 가격(현재의 가격)보다 낮은 현상
즉, 해당 상품의 가격이 앞으로 내려갈거라고 예측하는 상태이다
4) 롤오버
보통 만기가 있는 선물 상품에서 선물 상품이 이월되는 걸 의미한다
이월된다는 의미는 만기가 된 선물 상품을 매도하고
새로운 선물 상품을 매수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내가 100원을 주고 4월에 A라는 1개월 짜리 선물 상품을 샀다
한 달이 지나 해당 선물 상품이 만기가 되면 나는 새로운 선물 상품을 매수해야 된다
4월이 끝나 A가 1000원이 됐고 만기가 됐다
5월이 돼 새로운 선물 상품이 나왔는데 이 때 상품의 설계자는
상품의 시작 가격을 1000원으로 할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지난 한 달 사이 10배가 오른 상품이니까
이번 한 달 사이에도 가격이 오를거라고 예측하면
1000원보다 비싼 가격으로 상품 가격을 정하게 될 것이다
상품의 시작 가격을 2000원으로 가정하면
나는 100원을 투자해서 한 달이 지나 1000원을 벌었는데
상품의 시작 가격이 2000원으로 올라서 해당 상품을 0.5개밖에 못사는 상황이 된거다
또 한 달이 지나 5월이 끝났을 때 상품 가격이 3000원이 돼 매도를 했다고 가정하면
나는 해당 상품을 0.5개밖에 안가지고 있기 때문에 1500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이는 투자금 100원을 제외하면 1400원의 수익이 생기게 된다
내가 맨 처음 투입한 비용은 100원이고 매도 가격은 3000원이여서
나한테는 2900원의 이득이 생길 것 같지만
롤오버 비용 때문에 1500원의 수익만 생기게 된거다
반대로 백워데이션 현상이 유지된다면, 원래 받는 이익보다
더 큰 이익을 볼 수도 있다.
경제 용어 공부
하이일드 스프레드(High yield Spread)란?
IMF 원인 (0) | 2020.04.13 |
---|---|
원화의 강세, 약세, 평가절하, 평가절상 각 의미는? (0) | 2020.04.06 |
주식 거래 시간 정리 (1) | 2020.04.04 |
PMI 지수란? (0) | 2020.04.01 |
하이일드 스프레드(High yield Spread)란?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