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P2P 투자를 하기 위해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P2P 투자 사이트를 보면
보통 아래 정보들을 보여준다.
1) 연평균 수익률 : 얼마나 돈을 많이 벌 수 있는지
2) 누적 대출액 : 어느 정도의 규모를
2) 누적 대출액 : 가지고 있는 회사인지
3) 누적 상환액 : 현재 상황은 어떤지
4) 대출 잔액 : 현재 상황은 어떤지
5) 원금 손실률 : 투자한 사람들 중 원금에
5) 원금 손실률 : 손실을 본 사람은 얼마나 있는지
6) 연체율 : 투자한 사람 중 제 기간에 이자/원금을
6) 연체율 : 못받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위 정보들 중 가장 주의 깊게 봐야 될 정보는
원금 손실률과 연체율 두 가지 정보이다.
이 두 정보가 안전한 P2P 투자와
직결되는 정보들이고 둘 다 낮은 값이라면
해당 업체는 현재까지는 비교적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럼 원금 손실률과 연체율만 낮으면
무조건 투자를 하면 될까?
아니다.
좀 더 신중한 투자를 위해선
주의해야 될 점이 더 있다.
P2P 투자 상품은 짧게는 1개월부터 길게는
12개월 정도의 투자 기간을 갖는데
예를 들어, 3개월 투자 상품의 상환 계획은
돈을 빌려준 지 1, 2개월이 되는 달에는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이자만 주고
3개월이 되는 달에는 그 달에 해당하는
이자와 원금을 같이 돌려주는 방식이다.
즉, 돈을 빌려주고 받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달은 마지막 달이다.
극단적으로 가정했을 때, 현재는 원금 손실률과
연체율이 0%지만 마감하는 달에
원금을 지불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해당 업체가
현재까지 얼마나 많은 상품을
원금 손실과 연체 없이 마감시켰는지도
꼭 확인해봐야 되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P2P 투자는
꼭 여유 돈으로만 해야 된다.
은행 예금의 경우, 돈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중도 해지를 할 수 있다.
하지만 P2P 투자 상품은 중도 해지가 안되다.
중도 해지가 안된다는 건
그 동안 원금은 유동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급하게 돈이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 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말이다.
짧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원금 손실률과 연체율이 낮은 곳
2) 현재까지 많은 상품을 마감시킨 곳
3) P2P 투자는 여유 돈으로
P2P 투자 6개월 차 후기(데일리 펀딩) (0) | 2020.06.03 |
---|---|
예금 적금 말고 P2P 투자를 해보자(데일리 펀딩) - 1 (0) | 2020.02.16 |